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react
- 스터디
- DOM
- Todo
- chapter2
- OS
- 3주차
- 알고리즘
- HTML
- Til
- 자바스크립트는왜그모양일까
- javaScript기초
- 실전프로젝트
- WIL
- javascript
- computerscience
- 완강
- 쿠키
- 숙제
- 항해99
- CSS
- 4주차
- 버킷리스트
- OperatingSystem
- 5주차
- 1주차
- 화살표함수
- JS
- CS
- 생각정리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64)
개발캡슐
Chap 1. 3값은 타입을 가진다 3. 값은 타입을 가진다 - 자바스크립트에서는 값에는 타입이 있지만, 변수에는 별도의 타입이 존재하지 않아. - 변수는 언제라도 어떤 형태의 값이라도 가질 수 있어. 또한, 자바스크립트는 타입 강제(Type Enforcement)를 하지 않아. - 변수에 처음 할당된 값과 동일한 타입일 필요없어. 예를 들어, 문자열을 넣었다가 나중에 숫자를 넣어도 상관없어. -숫자 42는 내장된 숫자 타입의 값이야. 이 타입은 변경할 수 없어. - 반면, "42"는 문자열 타입의 값이지만, 강제 변환을 통해 숫자 42로 생성될 수 있어. - 변수에 typeof 연산자를 사용하는 건 "이 변수의 타입은 무엇이니?"라는 질문과 같지만, - 실제로 변수에 타입이 존재하지 않으닌까 "이 변수..
Chap1. 타입과 문법 Chap1. 타입 ECMA 표준 명세서 5.1에 따르면, 자바스크립트에서 사용되는 모든 값은 타입이 존재해. 이 타입은 ECMAScript 언어 타입과 명세 타입으로 분류돼. ECMAScript 언어 타입에는 Undefined, Null, Boolean, String, Number, Object가 있어. 타입이란 개념은 자바스크립트 엔진과 개발자 모두가 어떤 값을 다른 값과 분별할 수 있는, 고유한 내부 특성의 집합이라고 정의해. 따라서, 자바스크립트에는 '타입'이 존재하고, 이를 하위 타입(Subtype)이나 태그(Tag)로 부르는 경우도 있어. 이건 명세에서 정의한 타입의 개념과 다르지 않아. 자바스크립트는 기계와 사람이 모두 이해할 수 있는 값을 다루기 위해 타입이 존재해...

목록 태그(Lists) 목록 태그(Lists) - 다양한 유형의 목록을 사용해서 특성에 따라 정보를 그룹화해서 사용자에게 방향을 제시하는 태그. 목록 태그의 종류 - ul , ol, li, dl 4가지가 존재해. 1. ul - unordered-list(비정렬 목록, 정렬되지 않은 목록) 의 약자 - ol과 반대로 순서가 중요하지 않은(또는 없는) 목록에 사용해. - 일반적인 메뉴, 카테고리, 비슷한 구조의 반복 등에 사용하면 돼. - 자식으로 반드시 li만 가질 수 있어. Corn Tomatoes Beans Onions Garlic 2. ol - ordered-list(정렬된 목록)의 약자야. - 순서가 중요한 목록은 ol태그로 감싸서 나타내야 해. - 자식으로 반드시 li만 가질 수 있어. Cook ..
순수함수 순수함수(pure function) - 어떤 외부 상태에 의존하지않고 변경하지도 않는, 부수 효과가 없는 함수야. 즉, 동일한 인수가 전달되면 언제나 동일한 값을 반환하고 전달된 인수에게만 의존해 반환값을 만들어. - 부작용(side-effect)이 없는 함수, 즉 함수의 실행이 외부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 함수야. 그래서 순수 함수는 스레드 안전하고, 병렬적인 계산이 가능해. 외부 상태 : 전역 변수, 서버 데이터, 파일, Console, DOM 등이 있어. 스레드 안전 - "하나의 함수"가 한 스레드로부터 "호출"되어 실행 중일 때, "다른 스레드가 그 함수를 호출"하여 "동시에 함께 실행"되더라도 각 스레드에서의 함수의 "수행 결과가 올바로 나오는" 것. - return 값으로만 소통해. -..
useRef useRef - 리액트에선 render() 메서드에 의해 만들어지는 DOM에 접근하는 방식 으로 HTML 의 DOM노드와 React Element에 접근할 수 있도록 ref를 제공해. - javascript에서 특정 Dom을 선택하는 역할이 getElementById, querySelector 등이 있다면, 리액트에선 useRef를 사용해서 특정 Dom에 접근해. - 특정 DOM에 접근할 때 사용하고, - 외부 라이브러리 사용할때 유용해. useRef() 를 사용하여 Ref 객체를 만들고, 이 객체를 우리가 선택하고 싶은 DOM 에 ref 값으로 설정해. 그러면, Ref 객체의 .current 값은 우리가 원하는 DOM 을 가르킬 수 있게 되지. useRef가 필요한 상황들 - ref로 값을..

cookie 설정 cookie 가볍게 쿠키의 의미에 대해 알아보자. 쿠키에 대해 더 알고자하면 https://ahahahangstudy.tistory.com/109 해당 링크를 참고. 쿠키는 HTTP 프로토콜의 바상태성을 보완하기 위한 수단인데, 클라이언트 로컬(local)에 저장되는 키와 값(key, value)이 들어있는 작은 데이터 파일이야. 애초에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지속적으로 데이터 교환을 하기 위해 만들어졌어. 서버에서 HTTP Response Header에 Set-Cookie속성을 이용해서 클라이언트에 쿠키를 제공하지. 쿠키에는 이름, 값, 만료날짜/시간(쿠키 저장기간), 경로 정보들이 들어있어. - 서버가 웹 브라우저에 정보를 저장하고 불러올 수 있는 수단이고 - 해당 도메인에 대해 쿠키가..

const const const는 constant의 줄임말이자 "상수"라는 뜻이야. 상수란 변하지 않는 값을 의미하지. 재할당 되지않는 값인 상수를 변수로 선언하기 위한 키워드고. 하지만 상수의 값을 바꾸는 코드인, 배열 혹은 객체를 조작해도 에러가 나지 않아. 배열과 객체를 const 선언할 때는 요소나 속성을 추가, 수정, 삭제가 가능해. 왜일까? 배열, 객체를 const로 선언했는데 요소나 속성 등의 값이나 데이터를 추가(&수정, 삭제)할 수 있는 이유? 상수는 재할당에 의해 변경될 수 없고, 상수는 재선언 될 수 없어. 따라서 const로 선언한 배열 또한 재할당과 재선언이 될 수 없어. 하지만 - const 변수에 할당된 값은 바뀌진 않지만, 배열/객체가 변수에 할당될 때는 배열/객체의 요소(값..

require, import require, import require, import 두 개의 키워드는 모두 하나의 파일에서 다른 파일의 코드를 불러온다는 동일한 목적을 가지고 있어. 기본적으로 MomentJS라는 라이브러리를 불러오는 동일한 작업을 수행하지. 동일한 목적이지만 다른 문법을 가지고 있어. require - NodeJS에서 사용되고 있는 CommonJS키워드야. - CommonJS방식을 따른 첫번째 코드는 require키워드를 사용해서 다른 변수를 할당하듯이 모듈을 불러와. - 주의사항으로, CommonJS방식으로 모듈을 내보낼 때는 특정 변수나 그 변수의 속성으로 내보낼 객체를 세팅해줘야 해. (ES6처럼 명시적으로 선언하는 게 아니야.) 1. 여러 개의 객체를 내보낼 경우, export..

Position Position CSS Position 속성은 문서 상에 요소들를 배치하는 방법을 지정하는 속성이야. position속성을 이용하면 텍스트나 이미지를 원하는 위치로 배치할 수 있고, 어떤 방식으로 놓을 지 결정할 수 있어. 요소를 배치할 최종 위치는 top, right, bottom, left 속성이 결정해줘. - 만약 position 속성에 대한 이해없이 css를 수정한다면 예상치도 못하게 블로그 레이아웃이 이상해지거나 망가질 수 있어서, position 속성에 대한 건 제대로 짚고 넘어가야해. Position 속성 종류 Position 속성에는 5가지가 있어. static | relative | absolute | fixed | sticky static - 요소를 문서 흐름에 맞추어 ..

HTTP HTTP ?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의 약자. HTML문서와 같은 리소스(자원)들을 가져올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토콜이지. 웹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데이터 교환의 기초라고 할 수 있어. Protocol(프로토콜)은 "상호 간에 정의한 규칙"을 의미해. 특정 기기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 정의됐어. 즉, 나는 이렇게 줄 테니 넌 이렇게 받고 난 네가 준 거 그렇게 받을게라고 정한거야. 웹에서는 클라이언트라고 부르는 브라우저와 서버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방식으로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있어. 에러를 해결하는데도 HTTP지식이 중요해.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흔히 발생하는 CORS, CORB같은 에러들인데, HTTP만 잘 알아도 쉽게 해결할 수 있어..